한지제조 과정 폐수서..식품 개발 기대
(대전=연합뉴스) 윤석이 기자 = 한국한의학연구원(원장 김기옥) 하혜경 박사팀은 전통 한지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닥나무 폐수에서 면역 증강 효과가 있는 물질을 발견했다고 25일 밝혔다.
전통 한지는 원료인 닥나무를 삶아 껍질을 벗겨낸 뒤 이를 말려 만드는 데, 닥나무 1t을 삶게 되면 2t의 폐수(삶은 물)가 발생하지만 특별한 활용처가 없어 버려져왔었다.
한의학연 하 박사팀은 이 닥나무 폐수를 동결 건조한 뒤 분말 형태로 만들어 산업적 재활용 가능성 등을 검증한 결과, 식균 작용 및 면역 정보를 전달하는 `대식세포'와 항체 생성 등 면역력 증강에 작용하는 `비장세포'의 증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
`동의보감(東醫寶鑑)'을 보면 닥나무의 열매를 저실자(楮實子), 어린 가지와 잎을 구피마(構皮麻), 잎을 저엽(楮葉), 줄기를 저경 (楮莖)이라고 부르며 부종, 요통, 토혈, 풍진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소개하고 있다.
한의학연은 이번에 추출한 면역물질에 대해 특허를 출원하는 한편 분말이나 음료 등 형태의 면역기능 강화용 건강식품, 치료제 등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혜경 박사는 "기능성 상품으로서의 가치 뿐만 아니라 한지 제조과정에서 대량으로 폐기되는 부산물도 재활용할 수 있게 됐다"며 "추가적인 유효성 검증과 안정성 확인 등을 거쳐 5년내에 건강식품으로 산업화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있다"고 말했다.